[책]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 월급사실주의 2024 - 피아노 / 손원평

2024. 8. 5. 23:53보고 듣고 생각하고 기록하기/책

  • 피아노가 치고 싶다.
  • 일을 시작했을 때의 순수했던 마음을 생각하게 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에게 웃어주게 되는 것이 어른인가 보다.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 월급사실주의 2024> 표지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 월급사실주의 2024

  • 작가 : 남궁인, 손원평, 이정연, 임현석, 정아은, 천현우, 최유안, 한은형
  • 출판사 : 문학동네
  • 발행일 : 2024. 05. 01.
  • 국가 : 대한민국
  • 카테고리 분류 : 한국 단편소설
  • 페이지 : 268쪽
  • 채널 : 종이책

 

책 소개

혼자 힘으로 돈을 벌어 자기 자신을 먹여 살린다는 것

그 혹독하고 숭고한 일에 몸과 마음을 쏟아붓고 있는

우리 모두의 매일매일에 대하여

 

월급사실주의 소설 동인의

지극히 현실적인 밥벌이 이야기 그 두 번째!

 

동시대 한국사회에서 먹고살기 위해 일하는 보통 사람들의 삶에 대해, 발품을 팔아 사실적으로 쓴다는 규칙을 공유하며 결성된 ‘월급사실주의’ 동인의 단편소설 앤솔러지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월급사실주의 2024』가 출간되었다. 월급사실주의는 우리 시대의 노동 현장을 담은 소설이 더 많이 발표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한국소설의 새로운 흐름이다. 소설가 장강명에 의해 촉발된 이 움직임은 2023년 첫 앤솔러지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출간으로 이어진 바 있으며,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은 이 동인이 내놓는 두 번째 결과물이다.

 

올해 새롭게 월급사실주의 동인으로 합류한 작가는 남궁인 손원평 이정연 임현석 정아은 천현우 최유안 한은형이다. 사회의 단면들을 예리하게 감지해 온 작가들이 작심하고 직장을 무대로 써낸 이야기들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산문으로 뜨거운 사랑을 받아온 남궁인, 천현우 작가가 성공적으로 완성해 낸 첫 단편소설이 수록된 점, 『아몬드』 『서른의 반격』 등의 장편소설로 사회적 약자들이 세계와 관계 맺는 다양한 방식을 포착해 온 손원평의 최신작을 접할 수 있다는 점이 더욱 기대를 모은다.

 

책의 제목은 소설가 임현석의 단편소설 제목에서 따왔다. 생계유지를 위해 자신이 가진 시간과 에너지를 내놓아야 하는 노동시장에서 모두가 한 번쯤은 경험했을 인간적인 갈등 관계를 자연스럽게 연상시키는 힘을 지닌 제목이다. 제목이 그러하듯 이 책에 수록된 여덟 편의 단편소설 역시 다양한 삶의 현장을 핍진하게 그려내며 진한 공감을 이끌어낸다. 자기 자신을 먹여 살리기 위해 오늘 하루도 애쓰고 있는 모든 일하는 존재들을 위한 이 책은 5월 1일 근로자의 날에 맞추어 발행된다.

 

 

작가 소개

손원평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강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철학을 공부했고 한국영화아카데미 영화과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했다. 2001년 제6회 [씨네21] 영화평론상을 받았고, 2006년 제3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에서 「순간을 믿어요」로 시나리오 시놉시스 부문을 수상했다. 「인간적으로 정이 안 가는 인간」, 「너의 의미」 등 다수의 단편영화 각본을 쓰고 연출했다. 첫 장편소설 『아몬드』로 제10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하여 등단했다. 두 번째 장편소설 『서른의 반격』으로 제5회 제주4·3평화문학상을, 『아몬드』 『서른의 반격』으로 일본 서점대상을 수상했다. 이외 장편소설 『프리즘』, 소설집 『타인의 집』 등이 있다.

출처 : 예스 24

 


 

02. 피아노

#공부방 #돌봄 노동 #중고 거래 #세속성vs순수성

 

첫 문장

혜심은 반쯤 식은 로즈마리 차를 한 모금 홀짝였다. 

 


단편 소설을 읽고 느꼈던 감정은다르다였다. 요즘 많이 나오는 에세이나 자기계발서에서 쉽게 느낄 없는간결한 문장의 아름다움 짧은 글에서도 느낄 있었다. 어떻게 이렇게 느끼하지 않고 질척거리지 않게 감정과 상황을 표현할 있을까. 멋있다.

 

책은 공부방 선생님 혜심이 공부방을 정리하며 생긴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혜심이 공부방을 정리하던 , 공부방을 시작할 때부터 함께했던 준용이 공부방을 찾아온다. 그런 준용이 혜심에게는 탐탁지 않았다. 벌써 4개월째 수강료가 밀린 준용이 반가울 없다. 책은 혜심이 공부방을 정리해가는 과정과 과정에서 혜심과 준용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혜심은 아이들을 좋아한다기보단 가르치는 걸 즐겼다. 어리고, 유연한 존재에게 숫자와 글자를 알려주고 셈을 가르치고 실수를 하나하나 고쳐나가며 단정한 아이로 자라나게 돕는 일이 좋았다.

 

어렸을 잠깐 피아노 학원에서 일한 적이 있다. 보통의 아르바이트보다 시급이 편이었고, 당시 하고 있던 아르바이트와 동선이 맞아 선택하게 되었다. 피아노 전공자도 아니었고, 교육 관련 전공자도 아니었다. 고작 악보 조금 보는 걸로 선생님 소리를 들으며 그곳에 있었다. 그래도 나름선생님이라고 불리게 되니 짧은 지식이라도 알려주고 싶었고, 지켜야 예의들을 가르쳐 주기도 했다. 아이들이 어떻게 자랐으면 좋겠다는 생각보다는 단순히 어른으로서 이렇게 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줬던 같다. 지금 생각해 보니 내가 그랬어도 됐나? 생각하게 된다.

 

혜심의 시작하는 마음을 찬찬히 보니, 가르치는 즐기지도 않았고 그들이 어떻게 자라는 것에 대한 생각도 없었는데 괜히 친구들에게 미안함이 몰려온다.

 

 

 

 

아이들의 선율이 공부방을 채운다면 행복할 거라고 생각해서 들였던 피아노였다.

 

책을 보면서 일을 처음 시작했을 때의 설렘과 설렘이 바랜 현재를 생각했다. 일을 시작할 나름의 기대와 계획이 있다. “어떤 직업인이 되어야지. 돈은 얼마는 벌고 싶다. 미래는 어떨까.” 적어도 이런 생각을 하며 기대와 설렘의 미소를 가지고 시작한다. 그런데 지금은 하루 종일 일하면서 웃는 순간이 없다. 일에 치여서 산다는 마음뿐이다. 시작했을 때의 설렘은 언제 어디로 걸까?

 

피아노 대에 혜심의 시작과 설렘이 담겨 있었다. 작가는 허영심이라 말했지만 바퀴 달린 작은 피아노 대에허영이라는 말을 붙이고 싶지는 않다. 그저 혜심의 소소한 낭만, 시작의 설렘이었던 같다. 그랬던 피아노를 팔기 위해 사진을 찍어야 하는 그녀의 마음이 얼마나 복잡했을지 짐작하기도 어렵다.

 

 

 

 

아이의 상태가 어떤지 손톱보다 더 잘 말해주는 건 없었다.
….
손톱으로 짐작한 아이의 상태는 언제나 정확했다. 

 

처음 혜심이 준용을 맞이하는 장면을 보고 살짝 놀랐다. 아니, 그래도 애한테 너무 쌀쌀맞다는 생각을 했다. 아무래도 책장 밖에 있는 사람이니 혜심의 직업인으로서의 고됨보다는 그저 준용이라는 아이에게 마음이 갔던 같다. 생각해보면 나라도 준용을 환대하기 어려웠을 같다. 앉은자리에서 가난해지고 있었던 혜심은 마음에 여유가 없었을 거고, 어떻게 보면 가난의 축에 준용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런 준용이 반갑다면 그게 거짓말이겠지.

 

부분에서 나는진짜 이야기 느껴졌다. 어린이집 선생님 이야기를 가끔 듣게 되는데, 생각보다 이렇게 방치되는 아이들이 많다고 한다. 대부분 그런 방치는 외모나 위생에서 쉽게 나타난다고. 가정사를 모두 수는 없지만, 서툼이 아니라 무관심과 방치라면 이런 경우에는 선생님으로서, 어른으로서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까. 어려운 부분이다. 그리고 이런 부분은 개인과 개인이 해결하기엔 너무 예민하고 어려운 부분이니 결국 국가, 정책 차원의 문제로 확대되어야 하는데답답할 노릇이다.

 

 

 

 

- 지금부터 그렇게 생각하기 시작하면 삶이 함몰돼
- 함몰.
준용이 어깨를 으쓱했다.
- 그게 무슨 뜻인데요?
- 함몰이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도 모르는 상태로 어른이 되는게 함몰이야. 

 

가장 좋아하는 장면이다. 혜심이 준용에게함몰이라는 단어를 설명해주는 장면이 좋았다. ‘ 밖으로 튀어나온 행동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생각이 어떻게 해야 하냐는 준용의 질문에 혜심은삶이 함몰된다 말한다. 이렇게 어렵게 말하나 싶었지만, 준용이 단어를 되물으며 대화가 계속된다.

 

준용은함몰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이해했을까? ‘잘못’, ‘부끄러움정도로 이해했을까? 그렇게 이해했다면 똑똑하고 깊은 아이인 같다. 이해를 했다면 그건 그거대로, 이해를 못했다면 그건 그거대로 마음이 아픈 부분이 있다. 아마 손톱이 지저분한 준용임을 알기에 마음 한쪽이 계속 불편했던 같다.

 

 

 

 

아이들에겐 지겨울 정도로 꿋꿋한 구석이 있었다 바로 그 점이 아이들이 사랑스럽기도 지긋지긋하기도 한 이유였다. 

 

혜심도 준용도 미래가 어떻게 되었을지 모르겠다. 사실 해피 엔딩이 그려지지는 않는다. 그저 혜심은 마음이 고되고 힘들 피아노를 보며 조금이나마 행복했던 과거를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이겨냈으면 좋겠고, 준용은 불안하고 어떤 선택을 해야 선생님이 알려준함몰 기억했으면 좋겠다.

 

아이들의 꿋꿋한 구석이 지긋지긋함을 만든다는 말에 공감이 갔다. 아이들과 시간만 지내다 보면 꿋꿋함에 결국은 넉다운이 된다. 하지만 꿋꿋함에 다시 일어나기도 하는 보면 그게 사랑스러움이 맞는 같다. 어른으로서 지켜줘야 하는 꿋꿋함을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뚜벅 추천 지수 : 80%

오늘 나를 스쳐갔을 많은 돌봄 노동자들을 생각하게 된다. 

반응형